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04;8(2):225-237.
Published online July 31, 2004.
The Relationships between Postpartum Back Pain, Functional Limitation, and Postpartum Depression among Women with Back Pain during Pregnancy
오현이, 김진선
조선대학교
임신중 요통경험 산모의 산후요통, 기능제한 및 산후우울과의 관계
오현이, 김진선
조선대학교
Abstract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임신 후반기에 요통을 경험한 임부를 대상으로 이들이 산욕기 동안 겪게 되는 요통, 기능제한과 산후우울의 변화 및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 연구 대상은 임신기간 36∼39주에 요통을 경험한 임부 70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3차에 걸쳐 자료수집을 하였는데, 1차 자료수집은 임신기간 중, 2차 자료수집은 분만 후 10일째, 3차 자료수집은 산후 8주에 실시하였다. 조사내용은 1차에는 통증부위, 강도 및 통증으로 인한 장애를 측정하였고, 2차와 3차에는 통증의 강도, 산후 기능제한정도와 산후우울을 측정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2년 5월부터 2002년 10월까지였다. 3차에 걸친 자료수집을 모두 마친 60명이 본 연구를 위한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대응표본 t-검정, t-검정, 일원분산분석, 반복측정분산분석,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1. 연구대상자의 산후 10일째 평균 통증점수 4.58, 산후 8주째 평균 통증 2.48로 임신 36∼39주의 평균 통증점수 5.60에 비해 낮았지만 산후에도 요통이 지속되고 있었으며, 세 시점에서의 통증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6.34 , p=0.000). 2. 산후 8주째 기능제한 점수는 25.12점으로 산후 10일째 기능제한 점수인 25.98점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0.89 p=0.376). 3. 산후 8주째 산후우울 점수는 77.47점으로 산후 10일째 산모의 산후우울 점수인 76.63점보다 약간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0.50 p=0.622). 4. 기능제한과 산후우울은 대상자의 인구학적, 산과적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통증 특성만이 기능제한(F=12.64, p=0.000)과 산후우울의 차이(F=4.82, p=0.012)를 설명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5. 산후 요통의 강도, 산후 기능제한 정도, 산후우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산후 10일에 기능제한이 심할수록 산후우울이 심했으며(r=0.36, p=0.005), 산후 8주의 요통의 강도가 심할수록 기능제한 정도가 크고(r=0.60, p=0.000), 기능제한이 심할수록 산후우울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r=0.36, p=0.000). 결론 : 임신중 요통문제를 가지고 있는 임부들은 산욕기까지 요통의 문제가 지속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산욕기동안 산모의 요통과 더불어 산모의 기능회복과 산후우울과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산모교육에 요통관리, 기능제한과 산후우울을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Key Words: back pain, pregnancy, functional limitation, postpartum depression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Obstetrics & Gynecology, Gangwo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156, Baengnyeong-ro, Chuncheon 24289, Korea
Tel: +82-41-570-2493    Fax: +82-41-570-2498    E-mail: mojapub@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